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5년 반도체 산업 전망: AI 반도체 vs 레거시 반도체, 두 축의 경쟁

한국경제

by Money Log 2025. 1. 7. 11:36

본문

728x90
반응형

 

2025년 반도체 산업은 AI 반도체레거시 반도체 사이에서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전망입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올해의 주요 이슈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AI 반도체비-AI 반도체(레거시 반도체)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고, SK하이닉스삼성전자의 전략을 분석하여 향후 전망을 짚어보겠습니다.

AI 반도체 vs 레거시 반도체: 2025년 산업 양극화

2024년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은 6838억 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반도체 수출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높습니다. 2025년에는 반도체가 전체 수출의 약 2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AI 반도체비-AI 반도체(레거시 반도체) 사이의 격차가 두드러질 것입니다.

 

AI 반도체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에 발맞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HBM(High Bandwidth Memory)으로 AI 반도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고부가가치 반도체입니다. 반면, 삼성전자의 레거시 반도체(D램, 낸드플래시)는 전통적인 반도체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여전히 높은 수요를 자랑합니다.

SK하이닉스의 AI 반도체 독점 전략: 기술력 향상 필수

SK하이닉스AI 반도체 시장에서 독점 공급을 유지하려면 기술력 향상이 필수적입니다. HBM을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와의 가격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엔비디아는 공급 다변화를 원하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HBM엔비디아의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HBM을 포함한 반도체 적층 기술이 2025년의 주요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으며, 마이크론YMTC와 같은 글로벌 경쟁자들의 등장이 SK하이닉스에게는 위협 요소가 될 것입니다.

 

삼성전자의 레거시 반도체 방어: 가격 하락 우려

반면, 삼성전자는 레거시 반도체D램낸드플래시의 가격 방어에 주력해야 합니다.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전, 삼성전자의 레거시 반도체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의 66%**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레거시 반도체의 가격 변동이 삼성전자의 현금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제는 레거시 반도체 가격 하락입니다. 특히, 중국의 CXMT(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는 고부가가치 D램 DDR5 생산에 성공하며, 가격 경쟁이 심화될 전망입니다. 중국의 반도체 생산업체들은 저가로 반도체를 공급하며, 삼성전자의 수익성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국산화저가 수출삼성전자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큽니다.

 

2025년 반도체 시장 전망: 과제와 기회

2025년에는 AI 반도체레거시 반도체의 경쟁이 격화될 것입니다. SK하이닉스HBM 독점 공급을 위해 기술력을 강화해야 하며, 삼성전자는 가격 방어와 시장 점유율 확대에 주력해야 합니다. 또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 전쟁기술력 확보가 향후 몇 년간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

 

반도체 산업은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AI 반도체레거시 반도체 시장의 양극화가 더 심화될 전망입니다.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 SK하이닉스삼성전자의 전략은 향후 반도체 산업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